아마도 올해 3월경에 방영된 듯 하다.
못봤다.
몇 편이나 있는지도 나중에 찾아봐야 하겠다.
일단 그 단서로서... 그리고 스크랩의 의미로...
2015. 3. 8. 오늘 미래를 만나다 2화 - '로봇이 미래다.' 데니스 홍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invent it. by Alan kay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발명하는 것이다.(Alan Curtis Kay,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로 상호작용 컴퓨팅의 선구자)
불가능을 전제로 시작하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창의력, 서로 관계없는 것을 연결시키는 능력
(업데이트 - 아래 참고)
아이디어의 원동력은 메모, 아니면 까먹어.
호기심이 많은 장난꾸러기의 행동, 세상을 다르게 보기, 생각의 틀 깨기
로봇컵 월드컵, 2050년에 사람과 컴퓨터가 월드컵 경기를 하여 로봇이 승리할 정도로 로봇 공학을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임.
(선택의 문제, 갈림길에 다달았을 때 자신에게 묻기)
내가 이걸 왜 시작했지?
Why did I start this?
You can't always win, but you can always learn.
항상 이길 수는 없지만 항상 배울 수는 있다.
재난 구조용 로봇을 개발하려면 재난 현장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왜'에 답하는 것은 가정(Assumption)을 증명하는 도전(Challenge)!
Never lose that "SPART" in your eyes!
반짝거리는 (아이들의) 눈을 절대로 잊지 마라.
이 세상 모든 어른들이 이 세상을 바꾸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바로 자녀를 올바른 사람으로 키우는 것
머리로 하는 공부 뿐만이 아니라 손으로 하는 공부도 중요하다.
(업데이트 내용)
*데니스 홍의 댓글 달린 것을 보고 놀라며 검색하던 중... 8월 8일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 300명 초청 강연 있는 것을 보았다. ㅠㅠ. 미리 알았으면 애들에게 홍보해서 같이 들으러 갈걸...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고정 관념을 깨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창의력은 관계없는 것들을 연결시키는 능력이다.
따라서 경험, 지식, 소통을 통해 얻은 연결시킬 '기억'들이 많아야 합니다.
끊임없는 질문을 하는 아이들에게 정답 대신 실제로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세요.
창의적인 것들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0.Sw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브릭 소개 - 프레지 활용(작성중) (0) | 2015.08.19 |
---|---|
구글CT코스 한글 자료 by 최만 쌤 (0) | 2015.07.28 |
비트브릭팀의 '비트브릭 자동차' 흉내내기 (0) | 2015.07.21 |
가위바위보 봇, 손가락 관절 모형 만들기 #3 - 비트브릭 버젼 (0) | 2015.07.11 |
가위바위보 봇, 손가락 관절 모형 with 비트브릭 (0) | 201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