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를 알게 되면서

이것저것 많은 것들을 찾아보게 된다.


특히 SW교육 교구로 활용하고 있는 LittleBits의 경우,

Bits끼리 연결했을 때 고정이 되지 않아 자꾸 흔들리면서 연결이 잘 되지 않는 경우들이 있다.

그래서 

싱거버스에서 이것저것 찾아보는 중에 이를 고정할 수 있는 마운트가 있었다.


혹시나 하여 같이 올려본다.


출처 : http://www.thingiverse.com/thing:196287

싱기버스에서 

'LittleBits DC motor Mount'로 탑재되어 있는 링크다.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출력할 때 모델링된 것을 눕혀서 출력하면 좋을 것 같다.



아니면 이런 그리드도 좋을 것 같다.


LittleBits Grid

출처 : http://www.thingiverse.com/thing:582379




물론 이것 말고도 'LittleBits'로 검색했을 때 

너무나도 다양한 부품들이 나왔다.

대부분 2013년 전후 작품이라는 것...

신형 업데이트된 것들에 호환이 되는지는 출력해서 확인해 보아야 하겠다.


하지만 이런 마운트와 그리드를 이용하면

리틀비츠를 구조물과 같이 만들었을 때 쉽게 비츠들이 떼져서 회로가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Posted by 창석쌤
,

일단 이름을 '가위바위보 봇'이라고 지었다.

리틀비츠로 만든 가위바위보하는 손가락 관절 모형 장난감이라서...


암튼...


몇 일 동안 끙끙대던 손가락 관절 모형을 이용한 모형을 만들었다.

시간에 쫓기다가 방과후에 대략 1시간 정도 시간이 있어서...

애들과 장난치듯 뚝딱...


암튼 이 프로젝트와 관련된 프로토 타입 버젼 제작 관련 글로는 아래 블로그 글... 참고...

(손가락 관절 모형 만들기 #1 - 프로토 타입)


일단 프로토 타입의 손가락 모형 1개를 만든 후 

1차 완성품을 만들기 위한 나름대로의 스캐치... 대략의 크기 가늠을 위하여...



먼저 손가락 관절 모형을 만들기 위한 버블티 빨대로 일정한 규격을 만들기 위해 표시한 내용.

맨 오른쪽 십자 표시와 점은 손가락 끝부분으로 끈을 묶고 고정하기 위한 펀칭 위치이고,

이로부터 왼쪽으로 2cm / 2.5cm / 2.5cm 간격으로 펀칭 위치 표시한 것... 

그리고 마지막 맨 왼쪽의 선은 연결된 끈을 빨대 밖으로 빼어낼 목적의 펀칭 위치...


이와 같은 손가락을 일단 4개(사진은 처음에는 3개만 만들고 엄지를 넣을 생각이었기에...)


아래 사진의 위 두 개는 관절 부분에 펀칭만 한 손가락... 펀칭은 아일렛 펀치로...

다음 한 개의 손가락 모형은 펀칭된 부분을 기준으로 관절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위질 한 모형

마지막 한 개의 손가락 모형은 엄지손가락 역할을 할 손가락 모형으로 

3cm / 2.5cm 간격으로 펀칭하고 끈을 연결한 모형이다.

사진의 위 두 개 관절 부분도 세 번째 손가락 모형처럼 관절 부분을 가위질하고

마지막 손가락 모형처럼 끈을 묶어 연결하여 움직이는 손가락 역할을 하게 될 부분이다.


(나중에야 확인 한 것이지만) 

가위로 자르는 부분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관절의 이동 반경이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펀칭 및 가위질을 많이 하여 붙어있는 빨대의 부분을 가급적 적게 만들어야 서보 모터의 출력이 감당할 수 있는 상황이 되기도 하기에 이 과정이 아주 중요하리라 생각한다.


글루건으로 카드보드지에 완전 부착하기 전에

테이프로 고정하여 일단 당겼을 때의 현상을 테스트 해 보았다.

대략 줄을 4~5cm정도씩 당겨야 관절이 제대로 접힌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좀더 약한 힘으로라도 손가락을 굽힐 수 있도록 관절부분을 적절히 더 잘라내거나 펀칭을 깊숙이 하여 조절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18cm의 빨대 길이가 너무 길어서 대략 12~14cm로 하여 나머지 밑단 부분을 잘라내었다.


관절이 굽히도록 끈을 당기기 위해서는 서보 모터의 암으로만은 길이가 짧아 부족하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카드보드지에 서보 모터의 암이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줄을 충분히 당겨줄 방법이 필요했다. 

그래서 일단 아쉬운대로 클립을 연결하여 암에 고정할 수 있도록 아래 사진과 같이 연결하고, 

그 위부분을 절연 테잎으로 감아 고정하였다. 

리틀비츠에는 암을 길게 연장하여 연결할 방법이 이런 것 말고는 따로 세트가 만들어진 것이 없어서...


두 개의 서보 모터로 하나는 엄지와 검지를, 나머지 하나의 서보 모터는 남은 세 손가락을 연결하여 당기도록 배치했다. 출력을 고려하여 전지는 각각 따로 연결하였다.

서보 모터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일단 과감하게 글루건으로 붙였다.

하지만 손가락을 당길 때 생기는 장력 때문에 카드보드지가 뜯길려고 해서 급한대로 테이프로 또 고정...

그래서 비주얼이 더 허접해 보인다.

하지만 일단 급한대로...

(구멍을 뚫어 모터를 고정하는 방법들이 있지만... 카드보드지 1겹이라 어짜피 장력에 뜯어질 것과,

 서보 모터 암의 회전 영역을 고민하면 또 모양이 이상할 듯 하여 급한대로...)


일단 이렇게 간단하게 만들어서 버튼을 둘 다 누르면 주먹

사진에서처럼 윗 부분의 버튼을 떼면... 가위

두 버튼을 모두다 떼면... 보   가 되도록 제작했다.


하지만 애들은 항상 정해진 조작법 이외의 다른 것도 해 본다는 것...

두 개의 버튼이니 경우의 수는 4가지 그중 세 가지는 가위, 바위, 보인데...

나머지 하나는 몰라~~~~ '3'이라고 하는 거지...


남자 애들과 이쯤 만들었을 때 여자애들이 들어와서 시끄럽게... 하면서 이것저것 막 눌러본다.

그리곤 '신기하다'... 그걸로 끝...

음악들으면서 들어와서 동영상에도 녹음이 된 듯... 일단 유투브의 '노래 삭제' 기능을 이용하여 줄이기는 했지만...


어쨌든 1차 모형은 완성되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서보모터의 출력이 낮아지는지 힘들어하는 상황임을 알 수는 있지만... 그래도 상태가 좋다.


이 완성품을 바탕으로

이제는 비트브릭으로 이것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서보모터 4개로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

1부터 5까지 세는 손가락 로봇...

그러다가 '가위바위보~'하는 소리를 내면서 가위바위보를 할 수 있는 가위바위보 손가락 봇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다음 프로젝트... 주말까지 할 수 있으려나... 암튼... 


========

관련 이전글 

2015/07/08 - [06.SW교육/061.My SWedu] - 가위바위보 봇 - 손가락 관절 모형 With LittleBits


Posted by 창석쌤
,

자칭 '가위바위보 봇'


최근 손가락 관절 모형에 매달린 이유에 대해서는 이미 아래 블로그 글에서 밝혔다.


손가락 관절 모형 만들기 #1 - 프로토 타입


시간에 쫓기듯 몇 일을 보내다가 오늘 드디어 방과후에 몇 아이들과 같이 작업을 했다. 


원래 목적은 다르지만 그래도...


버블티 빨대로 손가락 모형을 만들 생각을 한 것은 앞의 블로그 글에서 밝혔듯이 

작년 갈릴레오 연수에서 한 강사선생님의 아이디어이다. (지금 기억으로는 심세용 쌤으로 기억하는데... 암튼)

그 때 완결짓지 못한 아쉬움도 아쉬움이지만...


카드보드지로 만드는 손가락 모형의 손가락을 리틀비츠의 서보로 움직일려니 출력이 아무래도...

그래서 기억해 내어 버블티 빨대로 선가락 모형을 만들었다.





몇 가지 수정해야 할 부분들이 눈에 보이지만... 일단은...

생각대로 결과물이 나왔다는 점에 만족하고 아이들과 즐거운 장면을...



이를 위한 제작기는 이제 정리해서 게시 예정...

LittleBits 게시판에...


(동영상에서 배경음악이 녹음되어 유투브에서도 콘텐츠 제약사항이 있네요... 일단 유투브 상태에서 노래 삭제 정리 처리하긴 했지만... 혹시라도 수정된 내용에 의해 저작권 문제가 발생한다면 댓글 남겨 주세요. 정리토록 하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여자 애들이 음악들으면서 교실에 들어왔다가 촬영 중에 녹음이 된 것으로 보인다. ㅠㅠ...)



이젠 이걸 비트브릭으로 수 세기 관절 손 모형까지 완성하고 싶다.

하지만 비트브릭으로는 출력 모터가 최대 4대까지만 연결이 가능하여 일단은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위 영상의 예처럼 가위바위보 봇으로 만들되,

난수를 발생시켜 사람과 실제로 가위바위보를 하도록 하는 게임 로봇으로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문제점으로는 서보모터 고정 방법...이 현재로서는 최대 해결필요 부분...


===============

만들기 과정 소개글: 가위바위보 봇, 손가락 관절 모형 만들기 #2 - 리틀비츠 버젼


Posted by 창석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