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쏘피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책도장 만들기"
학생들이 자신의 도장 디자인을 하고
디자인을 스캔하는 과정까지는 생략... 하고
리쏘피아 프로그램으로 모델링 하는 과정부터 시작해 본다.
리쏘피아 프로그램 다운로드와 설치 관련된 글은 관련 게시글을 참고...
http://chsuk74.tistory.com/199
1> 리쏘피아 프로그램으로 도장부분 모델링하기
원래는 쿠키 커팅 도안을 위하여 만든 기능을 도장 만드는데 활용한 것이다.
아래 그림의 순서대로 선택한다.
위와 같이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바로 그림에서와 같이 스캔된 그림에서 검정색 부분을
3D 모델링을 해주는 창이다.
그림에서 'Open New Image'를 선택하여 앞에서 스캔한 도장 디자인 도안을 선택한다.
각각의 설장값을 살펴보면
Width : 결과물 STL파일의 크기로 80mm를 의미
Cutter_Padding : 도장 바닥부분(사각형 테두리 밖으로 튀어나온 아래 Base의 폭)
Stamp_Extend : 몇 가지 변경된 값을 주면서 테스트 해 보았지만 어떤 설정인지 모르겠음.
Cutter_Thicknes : 테두리(정사각형 커터)의 두께
X_Resolution / Y_Resolution : 그림의 가로, 세로 해상도로
위 그림에서 그림 아래 표시된 해상도를 그냥 옮겨 적음
Base_Thickness : 베이스(밑의 판)의 두께(높이)
Cutter_Print_Thickness : 테두리(정사각형 커더)의 높이
Stamp_Print_Thickness : 앞의 도장 글자 부분의 높이
*도장이기 때문에 커터와 스탬프의 높이를 같게 설정
원래 목적대로 쿠키 커터로 활용할 경우 커터는 길게, 스탬프는 작게
그러면 커터 만큼의 쿠키로 자르되, 스탬프가 쿠기 안에 찍히도록 하는 기능
==> 이 기능을 책도장 만드는 아이디어로 변경하여 활용한 것임!
그리고 아래의 몇 가지 설정값을 조정한 후
'Update 3D Model'을 선택하여 모델링을 하면
화면 오른쪽 하늘색 창 부분에 모델링된 모습이 미리보기로 나타난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시간이 다소 걸린다.)
위 그림에서 오른쪽 미리보기 처럼 모델링된 것을 stl파일로 다운받으려면
'Download STL' 단추를 눌러 파일로 저장한다.(컴퓨터 사양에 따라 다소 시간 소요)
저장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파일이 2개가 생긴다.
하나는 커터, 하나는 스탬프...
이중 미리보기의 모델링 stl 파일은 스탬프 파일이다.
80mm 크기에 약 20mm 높이의 모델링 파일이 대략 80~100MB정도의 용량의 파일로 만들어진다.
2> 모델링한 도장 부분을 3D 프린터로 출력하기
앞에서 제작된 도장 부분은 크기가 가로 세로 80mm의 크기로 제작되었다.
이를 실제 도장으로 만들 때에는 20mm의 크기로 변환하고자 하였다.
-현장 출력을 목표로 했었기에 출력시간을 최소화하고
도장으로서도 적당한 크기를 유지해야겠다는 생각에서 20mm로 지정
-처음 모델링 과정에서 20mm로 크기를 설정하여도
용량은 10MB정도의 차이만 날 뿐 큰 효과 없음
-처음 모델링 과정에서 크기를 크게 한 것은 각종 설정값을 지정할 때 편의를 위함.
(일부항목은 소수점 이하 설정이 불가능함.)
아무튼 먼저 80mm짜리 stl 파일을 20mm짜리 결과물로 만들기 위하여 비율 축소
*참고로 이번 작업에 활용한 3D 프린터는 Si3-L170,
슬라이싱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Repetier-Host
아래 그림은 슬라이싱 gcode 변환 프로그램에서 크기를 1/4로 변환한 모습이다.
그림의 눈금은 10mm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다.
크기가 변환된 대상을 infill만 100%로 설정해서 슬라이싱
-20% / 50%로 각각 슬라이싱을 했을 때 출력완료 시간 상의 차이는 1분 내외
-이 점을 고려할 때 특히나 도장으로 각인된 부분이 튼튼히 자리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nfill을 그냥 100% 지정
슬라이싱 결과 대략 10분 30초 예상 출력시간에 17층이 쌓인단다.
출력하는 프린터의 자체 속도를 100%로 하면 거의 맞고
정밀한 출력을 위해 프린터 자체 속도를 낮추면 그만큼 시간이 더 소요된다.
50% 속도로 낮추어 출력해 보았으나 결과물에 그다지 큰 차이는 없어 보였다.
그래서 그냥 100% 속도로 출력
(52명의 도장을 일괄 작업하려고 하니 일부러 시간 단축이 필요하기도 해서...)
*이렇게 해서 52개의 도장을 미리 디자인 도안을 받고 스캔, 편집, 출력까지 마무리하고
행사 당일에는 출력한 결과물 도장을 나무 목도장에 직접 접착하고
사포로 갈아 글자가 잘 찍히도록 하는 작업만 하고 완료.
(행사 당일 1개조 8~9명, 총 6개조, 1개조당 체험시간 20분 배정이어서 전과정을 다 하기에는 시간상, 보유장비 상 여러 가지 문제로 고민 끝에 활동 내용 간소화함.)
*실제 출력한 결과물을 접착하고 사포 가공하는 것은 3편에서...
'300.3D 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다면체 연결 블록으로 이쑤시개 정다면체 만들기 (0) | 2017.06.02 |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3편 (0) | 2016.11.1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1편 (0) | 2016.11.03 |
손그림으로 3D 모델링하기 - 수업 적용기 (0) | 2016.09.30 |
[스크랩] 손으로 그린 간단한 동물을 3D로 모델링하기 (0) | 2016.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