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3D 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sion360 30일만에 배우기 - 유투브 링크 (0) | 2018.08.20 |
---|---|
정다면체 연결 블록으로 이쑤시개 정다면체 만들기 (0) | 2017.06.0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3편 (0) | 2016.11.1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2편 (0) | 2016.11.03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1편 (0) | 2016.11.03 |
Fusion360 30일만에 배우기 - 유투브 링크 (0) | 2018.08.20 |
---|---|
정다면체 연결 블록으로 이쑤시개 정다면체 만들기 (0) | 2017.06.0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3편 (0) | 2016.11.1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2편 (0) | 2016.11.03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1편 (0) | 2016.11.03 |
Fusion360 30일만에 배우기
유투브 영상
다만... 영어(?) 방송
Product Design Online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rZ2zKOtC_-DR2ZkMaK3YthYLErPxCnT-
로봇 핸드 모델링(C823eaRHLF) - 파프리카 3D (0) | 2018.08.20 |
---|---|
정다면체 연결 블록으로 이쑤시개 정다면체 만들기 (0) | 2017.06.0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3편 (0) | 2016.11.1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2편 (0) | 2016.11.03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1편 (0) | 2016.11.03 |
페이스북에서 [3D프린팅 왕초보 교사의 왕초보 탈출기]를 연재하는 한준곤 선생님의 사례를 접하다가 도전하게 되었다.
싱기버스에 올라있는 모델링 자료를 찾아 도전해 보았다.
모델링 자료는 한준곤 쌤의 링크 자료를 참고하여 올리면
1. 정다면체 조인트1(심플하지만 출력이 좀 어려움) : http://www.thingiverse.com/thing:2178827
2. 정다면체 조인트2(필라멘트가 조금 많이 소비되지만 출력이 쉬움) : http://www.thingiverse.com/thing:9203
3. 지름 6mm 목공용 목심 파는 곳: https://goo.gl/YyQorD
이 중 2번 링크의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였고,
교실에서 예전에 자료전 준비물로 사서 굴러다니는 이쑤시개를 써서 없애보자는 취지...
실은 이보다 좀더 작고 앙징맞은 정다면체를 만들어보고자 하는 마음에서였다.
작은 크기의 블록을 3D로 10분 이내에 출력해서 이쑤시개라는 간단한 봉을 연결하여 정다면체를 만들어보자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
2번 링크의 모델링 자료를 다운받아
일단 정사면체 블록을 그대로 출력해 보니,
(출력물 상황이나 가능성, 크기 등을 가늠하기 위하여 테스트 용으로 출력)
목봉 6mm 사용을 권장하였으나, 출력물 실측결과 5mm로 확인되었다.
이쑤시개 두께를 측정해 보니 2mm정도이기에
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블록을 축소하기로 하고
유격 등을 고려하여 0.42 비율로 축소하여 출력
출력시간도 10분 안팎으로 각 세트들 출력가능하게 되어 더욱 좋음.
==> 출력시간이 짧아지면 수학체험전과 같은
전시, 체험행사 때 관련된 다양한 것들을 준비하고 만들어볼 수 있는 시간이 가능하지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이 생긴다.
정이십면체 제작을 위한 연결블록 출력 모습
원판의 0.42비율로 축소 출력, 12개의 연결블록 위에서, 옆에서 핸드폰으로 촬영
위 사진과 같이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연결 블록을 모두 출력하였다.
연결봉을 만들기 위해
이쑤시개의 뾰족한 부분을 잘라내어 대략 50~60mm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잘랐다.
그리고 부러지지 않게 조심히 끼워 완성!
5종 세트 모두 출력해서 완성한 모습
정사면체를 만들기 위해 연결블록을 연결한 모습
정육면체의 연결블록 연결 모습
정이십면체의 연결블록 연결 모습
정십이면체 연결블록 연결 모습
정사면체 완성 모습
정육면체 완성 모습
정팔면체 완성 모습
정십이면체 완성 모습
정이십면체 완성 모습
활동 결과 정리
정다면체 연결 블록의 세트당 출력시간이 짧다.
세트당 출력시간이 5분~15분 사이
시간을 고려하면 각종 체험전의 소재로 활용 가능하겠다.
한편에서는 계속 출력하고, 한편에서는 체험자가 원하는 세트를 선택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하면서 대략 30분 정도의 체험으로 최소 2세트를 출력 및 완성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D프레임 등으로 연결하여 만드는 것보다는 준비 및 출력해두는 것에 불편함이 높다.
하지만 아기자기한 정다면체의 세트를 간단히 3D로 출력해서 만들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봉도 출력한다면 출력 및 준비시간은 늘어나겠지만 학교 수업 용 세트를 출력하여 준비하는 데에는 큰 무리없을 것으로 생각됨.
도전 과제
두께 6mm의 목봉을 준비하여 만들어 보기
실제 주변의 짧은 목봉들을 구하다 보니 6mm짜리들이 많았다. 이에 연결가능한 출력비율을 찾아낼 필요가 있겠다.
정다면체의 순환을 연출할 수 있는 교구 세트 출력으로 발전시키기
다른 목봉 대신 연결봉을 적절한 두께의 연결봉으로 모델링하여 풀세트로 만들기
이 세트를 만들어 출력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교구를 만든다면 관련 수업 진행할 때 도움이 되는 교구세트가 될 것 같다. 물론 다른 교구가 있다면 굳이 3D로 시간을 들이면서 출력하고 준비할 필요는 없겠지만....
로봇 핸드 모델링(C823eaRHLF) - 파프리카 3D (0) | 2018.08.20 |
---|---|
Fusion360 30일만에 배우기 - 유투브 링크 (0) | 2018.08.20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3편 (0) | 2016.11.12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2편 (0) | 2016.11.03 |
책도장 만들기 With 리쏘피아 프로그램 - 1편 (0) | 2016.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