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sion360 30일만에 배우기

유투브 영상

 

다만... 영어(?) 방송

 


Product Design Online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rZ2zKOtC_-DR2ZkMaK3YthYLErPxCnT-

Posted by 창석쌤
,

7월 중순경 페이스 북을 통해 3D 프린터 신간 도서 이벤트(리뷰 조건)에 당첨되었다.

 

http://www.arisuedu.co.kr/?productcode=021010001000000060

 

아리수 에듀 - 바로세움 출판

이문호 선생님 지음

"알기 쉽게 배우는 3D 프린터"

 

문고판의 재판 크기로 되어 있어서 들고다니기 편한다는 장점에

들고 다니면서 간간이 들여다 보면서도 짧은 시간안에 전체 내용을 살펴보기 좋았다.

 

 

먼저, 목차를 살펴보면

전체 32가지 소챕터로 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세 가지의 대주제로 나누어 볼 수 있겠다.

하나는 3D 프린터와 3D 프린팅에 대한 이해

두 번째 주제는 3D 프린팅 출력

세 번째 주제는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3D 프린팅에 대한 개요 내용은 아주 쉽게 잘 풀어 쓰여 있다.

3D 프린팅에 앞서 3D 프린터에 관련된 핵심 내용만 뽑아 잘 정리되어 있었고

쉽게 물 흐르듯 읽어내리면 전체적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서술되어 있었다.

 

다만 2장과 3장의 3D 프린터의 종류에 관련된 이야기였으나

실제 2장의 내용은 개방형과 완성형으로 구분하는 것과

3장의 출력 방식에 따른 종류를 구분하는 것...

2장은 단지 완제품이냐 조립품이냐의 차이로 3D 프린터의 종류라고 하며

'종류'라는 범주로 구분하기에는 3장의 내용이 좀더 적절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내용 구성 면에서 좀 더 관심이 쏠렸던 건...(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이지만...)

3D 모델링 프로그래밍으로 제시된 Beetle Block 내용이다.

이런 종류의 기술서를 볼 때에는 그 책에서 자신이 몰랐던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123D로 모델링을 하고 Cura로 슬라이싱해서

3D 프린터로 몇 가지를 출력해내던 것에 익숙해져 있을 때

Beetle Block은 색다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블록형으로 Beetle을 움직이는 명령을 하며 대상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수학적 탐구 대상 모델링 및 출력에 이상적일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 때문에...

 

내용 면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면

슬라이싱 프로그램에 대한 부분이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겠지만 XYZware를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알고 있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Cura 계열의 슬라이싱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 면에서는 슬라이싱 프로그램으로 Cura 중심의 서술도 필요하였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없었다는 점이다.

일단 아쉬운 점으로 두고...

저자의 어떤 의도가 숨겨져 있을 것이라고만 미루어 두고...

 

이 책의 최대 장점은

3D 프린팅 입문자를 대상으로 일종의 수업을 진행하기에 적절한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여느 기술서들과 달리 자신의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기록할 수 있는 질문과 작성란이 만들어져 있다.

내용이 제목처럼 '알기 쉽게 배우는'이라는 말이 딱 맞아 보인다.

 

 

전체적인 책 리뷰를 정리해보면 이렇다.

1. 3D 프린팅 초보자들을 위한 썩 좋은 가이드 북이다.

2. 그만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3. 슬라이싱 프로그램이 한 종만 소개되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문이 들어 다소...

4. 나름의 새로운 정보-Beetle Block이라는 프로그래밍형 모델링 프로그램-를 얻을 수 있어서 의미 있었다.

 

 본 리뷰는 도서 이벤트에 당첨되어 도서 후기 작성 요청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다만, 내용은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임을 밝힙니다.

 

'81.관심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 다빈치 꿈을 설계하다  (0) 2015.07.29
[기타]놀이터 학교  (0) 2015.07.24
[SW]버그마왕과 엔트리 월드의 위기  (0) 2015.07.24
Posted by 창석쌤
,

페이스북에서 [3D프린팅 왕초보 교사의 왕초보 탈출기]를 연재하는 한준곤 선생님의 사례를 접하다가 도전하게 되었다.

 

싱기버스에 올라있는 모델링 자료를 찾아 도전해 보았다.

모델링 자료는 한준곤 쌤의 링크 자료를 참고하여 올리면

1. 정다면체 조인트1(심플하지만 출력이 좀 어려움) : http://www.thingiverse.com/thing:2178827

2. 정다면체 조인트2(필라멘트가 조금 많이 소비되지만 출력이 쉬움) : http://www.thingiverse.com/thing:9203

3. 지름 6mm 목공용 목심 파는 곳: https://goo.gl/YyQorD

이 중 2번 링크의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였고,

교실에서 예전에 자료전 준비물로 사서 굴러다니는 이쑤시개를 써서 없애보자는 취지...

실은 이보다 좀더 작고 앙징맞은 정다면체를 만들어보고자 하는 마음에서였다.

 

작은 크기의 블록을 3D로 10분 이내에 출력해서 이쑤시개라는 간단한 봉을 연결하여 정다면체를 만들어보자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

 

2번 링크의 모델링 자료를 다운받아

일단 정사면체 블록을 그대로 출력해 보니,

(출력물 상황이나 가능성, 크기 등을 가늠하기 위하여 테스트 용으로 출력)

 

목봉 6mm 사용을 권장하였으나, 출력물 실측결과 5mm로 확인되었다.

 

이쑤시개 두께를 측정해 보니 2mm정도이기에

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블록을 축소하기로 하고

유격 등을 고려하여 0.42 비율로 축소하여 출력

출력시간도 10분 안팎으로 각 세트들 출력가능하게 되어 더욱 좋음.

 

==> 출력시간이 짧아지면 수학체험전과 같은

      전시, 체험행사 때 관련된 다양한 것들을 준비하고 만들어볼 수 있는 시간이 가능하지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이 생긴다.

 

 

정이십면체 제작을 위한 연결블록 출력 모습

원판의 0.42비율로 축소 출력, 12개의 연결블록 위에서, 옆에서 핸드폰으로 촬영

 

 

위 사진과 같이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연결 블록을 모두 출력하였다.

 

01_tetrahedron_2mm_4.gcode

02_cube_2mm_8.gcode

03_octahedron_2mm_6.gcode

04_dodecahedron_2mm_20.gcode

05_icosahedron_2mm_12.gcode

 

연결봉을 만들기 위해

이쑤시개의 뾰족한 부분을 잘라내어 대략 50~60mm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잘랐다.

그리고 부러지지 않게 조심히 끼워 완성!

 

5종 세트 모두 출력해서 완성한 모습

 

정사면체를 만들기 위해 연결블록을 연결한 모습

 

정육면체의 연결블록 연결 모습

 

정이십면체의 연결블록 연결 모습

 

정십이면체 연결블록 연결 모습

 

정사면체 완성 모습

 

정육면체 완성 모습

 

정팔면체 완성 모습

 

정십이면체 완성 모습

 

정이십면체 완성 모습

 

 

활동 결과 정리

  • 정다면체 연결 블록의 세트당 출력시간이 짧다.
    세트당 출력시간이 5분~15분 사이

  • 시간을 고려하면 각종 체험전의 소재로 활용 가능하겠다.
    한편에서는 계속 출력하고, 한편에서는 체험자가 원하는 세트를 선택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하면서 대략 30분 정도의 체험으로 최소 2세트를 출력 및 완성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4D프레임 등으로 연결하여 만드는 것보다는 준비 및 출력해두는 것에 불편함이 높다.
    하지만 아기자기한 정다면체의 세트를 간단히 3D로 출력해서 만들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연결봉도 출력한다면 출력 및 준비시간은 늘어나겠지만 학교 수업 용 세트를 출력하여 준비하는 데에는 큰 무리없을 것으로 생각됨.

도전 과제

  • 두께 6mm의 목봉을 준비하여 만들어 보기
    실제 주변의 짧은 목봉들을 구하다 보니 6mm짜리들이 많았다. 이에 연결가능한 출력비율을 찾아낼 필요가 있겠다.

  • 정다면체의 순환을 연출할 수 있는 교구 세트 출력으로 발전시키기

  • 다른 목봉 대신 연결봉을 적절한 두께의 연결봉으로 모델링하여 풀세트로 만들기
    이 세트를 만들어 출력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교구를 만든다면 관련 수업 진행할 때 도움이 되는 교구세트가 될 것 같다. 물론 다른 교구가 있다면 굳이 3D로 시간을 들이면서 출력하고 준비할 필요는 없겠지만....

Posted by 창석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