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교육의 목적?(By 정영식 in FB)




SW교육은 컴퓨터과학적사고력(Computatonal Thinking)을 기르자는 것이다. 컴퓨터적과학적 사고력이라는 것은 문제 분석 -> 문제 해결 -> 방법 최적화 -> 방법 일반화를 의미한다.

1. 문제분석 :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CT에서는 문제를 분해하는 작업을 합니다. 하나의 문제를 잘게 쪼개어 보는 것이지요.. 그리고 세부 과제의 해결 방안을 찾아 그것을 연결합니다. 일의 순서를 생각하고요...

2. 문제해결 : 해결 방안을 잘 정리한 것이 알고리즘입니다. 문제해결 과정을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나름대로 기호화하고, 추상화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때론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3. 방법의 최적화 : 제시된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고, 오류를 찾고, 그것을 수정하는 과정이며, 성공을 했더라도 어떤 것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지를 분석하는 과정이 최적화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나름대로 알고리즘(해결 절차)을 분석하거나 평가하여 나름대로 최적의 방법을 찾지요.. 특정 알고리즘이 항상 최적이진 않습니다. 상황에 따라 맥락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면도 있습니다.

4. 방법의 일반화 : 최적화된 방법을 실제 문제에 적용해서 그 방법이 잘 된 것인지 판단하기도 하며, 유사한 문제에 응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로 만들어 시뮬레이션하기도 하고, 로봇 등에 적용하여 확인하기도 하지요.. 일반화가 결국 CT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글짓기가 작가만을 양성하려 하는 것이 아닌 것처럼 SW교육도 컴퓨터과학자만을 만들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SW교육은 이러한 CT를 기르기 위한 교육입니다. 저학년 SW교육에서는 식물 기르기를 통해 SW교육을 하기도 합니다.


Posted by 창석쌤
,

플립러닝을 통한 'What will you make?' 프로젝트

http://srook.net/mrcau/635573337095000000


스크래치, 앱인벤터, 레고로봇, 갈릴레오 활용



Posted by 창석쌤
,

경인교대 미래인재연구소에서 

e-Book으로 발간한


Creative computing 이슈리포트

최근의 SW교육의 동향 정리한 자료


http://srook.net/kfcman/635574505971217500




Posted by 창석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