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학생들의 학습내용 이해 정도를 질문과 응답으로 확인하게 된다.
단순히 질문을 하고 손들어 응답하고 그에 따라 응답한 친구만 칭찬강화를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 반복되다 보면 자연히 손드는 친구들만 손들게 되고 칭찬을 받게 되는 경우 많아진다.
이 상황에서 교사로서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
손들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는 친구들은 과연 내용을 이해하고 있을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평가, 쪽지시험 등이 시행되기도 한다.
교사 입장에서 학습 내용 이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나름의 방법들이 적용되는 것이다.
이처럼 교사가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를
스마트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통계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이를 도와주는 방법으로 두 가지 방식을 제안할 수 있는데,
하나는 구글드라이브 - 양식 기능을 이용하여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글 결과를 스프레드시트로 저장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바로 Socrative 앱을 활용하여 학생 디바이스에서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고 그 최종 결과를 교사가 리포트로 받아 저장하는 방식이다.
Socrative, 이런 때 사용할 수 있어요.
1. 수업 정리 과정의 형성평가 진행
2. 수업 전 수업 준비도(선수학습 정도) 확인
3. 각종 간단한 투표 진행
4. 즉각적인 퀴즈 대회(평가) 진행
5. 모둠별 퀴즈 대회 진행
Socrative 는 본질적으로 제시된 문제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상에서 수합하고
그 수합 결과를 리포트 형태로 교사에게 제공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간단한 평가 시행, 의견 수합 등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그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피드백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Socrative, 이런 장점이 있어요.
1. 거의 모든 평가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2. 사전에 준비하지 않아도 별도의 문제를 제공하여 즉각적인 퀴즈(평가) 활동을 할 수 있다.(Single Question Activities 활용)
3. 미리 제작해 둔 퀴즈(평가)를 불러와 퀴즈 활동을 할 수 있다.(Quiz-Based Activites 활용)
4. 내가 만든 퀴즈를 관리하고 보관할 수 있다.(클라우드 서비스 기능)
5. 다른 교사와 서로 제작한 퀴즈를 공유할 수 있다.(퀴즈 자료 공유)
6. 일반 PC의 웹 브라우져 접속, 안드로이드 계열, iOS계열의 모든 디바이스에서 접속, 활용 가능하다.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7. 교사 이외의 학생(응답자)은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 교사의 Room Numner만 알면 퀴즈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8. 퀴즈를 제작할 때 사진자료를 첨부할 수 있다.(이를 확장하면 일반 지면에 출력된 문제를 사진으로 찍어서 문제로 제시할 수도 있어 쉽게 퀴즈를 제작할 수도 있다.)
* Socrative와 구글드라이브의 '양식' 기능 비교
앞에서 언급한 구글드라이브의 '양식'과 다른 장점은
일단,
Socrative는 2번과 같이 사전에 퀴즈를 미리 만들어 두지 않고, 즉각적인 말이나 다른 방식의 안내(교과서 문제, PPT로 문제 제시)를 통하여 즉각적인 퀴즈 활동 진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구글드라이브의 '양식'은 미리 양식을 통하여 문제를 만들어 두었다가 이를 단축주소나 QR 코드 등을 통하여 공유해 주어야 한다.
두 번째 측면은 각 디바이스에서의 문제 제작 가능 여부...
Socrative는 PC의 웹 브라우져,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 모두에서 같은 화면과 같은 편집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어 어떤 환경에서는 퀴즈를 제작, 편집,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비해 구글드라이브의 '양식'은 양식을 통한 퀴즈(문제) 제작은 PC에서만 가능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사실상 편집, 제작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세 번째 측면은 문제 제공의 도움을 주는 그림(사진)의 첨부 가능 여부...
Socrative는 사진 파일 첨부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지면의 문제를 직접 찍어서 제공하거나, 교과서의 그림들을 사진으로 찍어 문제를 제작할 때 더욱 다양한 문제 제시가 가능하다.
이에 비해 구글드라이브의 '양식' 문제와 관련된 사진 제시 기능이 사실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기능 비교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Socrative의 기능이 더욱 좋다는 관점의 비교 제시가 되었네... )
Socrative, 이렇게 사용해요.
* 웹에서 접속하기
* 어플 다운받기- 운영체제별 앱 스토어에서 'socrative teacher' 검색
안드로이드 기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ocrative.teacher
iOS 기기:
* 실제적인 Socrative 앱의 활용 방법은 허두랑 선생님의 블로그에 게시된 글이 가장 자세하게 잘 설명되어 있어 링크 걸어 둔다.
1. 기본인터페이스: http://felix82.blog.me/140188305776
Socrative 앱의 로그인과 기본 활용을 위한 Main Screen 화면 구성 소개
2. 싱글 질문 활동(Single Question Activities): http://felix82.blog.me/140188547893
Socrative 앱의 퀴즈 활동 중 사전 제작 없이 즉각적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받을 수 있는 활동으로 선다형, 참/거짓형, 단답형의 문제를 제시하고 그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3. 퀴즈 기반 활동을 위한 문항 만들기
퀴즈 문제 만들고 관리하기 - http://felix82.blog.me/140191765981
다른 선생님이 만든 퀴즈 가져오는 import 기능 - http://felix82.blog.me/140191907586
Socrative, 후기
구글드라이브의 '양식' 기능 보다
훨씬 더 평가의 수행, 평가 결과의 수합 등의 활동 목적에 알맞게 구성된 앱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평가를 위해 만들어 두었던 다양한 퀴즈(문제) 파일은 서로간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학년 선생님들끼리 각 차시별로
혹은 주요 학습 내용을 단원 수준에서
혹은 가장 핵심적인 학습 내용만을 평가하는 퀴즈들을 만들고 이를 DB화 해서 서로 자료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면
더욱 막강한 툴로 활용되지 않을까 여겨진다.
단지 학생들은 학생용 Socrative Student 앱을 설치하여
교사가 안내하는 방 번호만을 입력하여 활용하므로 사용도 쉽다.
스마트 교실이 구축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과
협업의 대명사인 구글드라이브 사용,
그리고 이 Socrative의 활용으로도 기본 형태의 스마트 수업 형태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교사의 생각과 요구에 맞추어 이 앱의 활용 가치나 범위도 매우 다를 것이다.
'100.Smart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찾아가는 스마트교육 연수 자료 (0) | 2013.10.23 |
---|---|
[Naver, Daum앱]QR코드 스캔, 검색할 때 (0) | 2013.10.18 |
[과학5-2-2.우리몸]거북목이 되기 싫어요 (0) | 2013.10.15 |
[모비즌]Android기기, PC로 조작하거나, 화면 미러링하기 (0) | 2013.10.15 |
수업 활동별 주요 스마트 도구들-마인드맵핑 (0) | 2013.10.10 |